사진 보험연구원 제공 [뉴스락]

[뉴스락]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정신건강 악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사전 예방 등을 위해 민간부문 건강광리서비스를 활용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25일 보험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연령대별 정신질환 발생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정신질환에 따른 진료인원과 진료비가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5년간 ‘정신 및 행동장애(F코드)’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연평균 6.2% 증가했다.

성별별로 보면 남성 5.9%, 여성 6.5% 늘었고 청년·여성·고령층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두드러진다.

청년·여성·고령층의 정신질환 증가는 각각 학업 및 취업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 고령화에 따른 치매 증가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빈도 정신질환은 성별·연령대별로 차이가 난다.

남성은 불안장애(F41), 우울증(F32), 수면장애(F51), 치매(F00) 등의 순이고 여성은 우울증(F32), 불안장애(F41), 치매(F00) 등의 순이다.

유아 및 청소년기에는 운동 과다장애(F90), 말하기와 언어의 특정 발달장애(F80), 근로기간인 20대부터 60대까지는 우울에피소드(F32), 기타 불안장애(F41), 노년기에는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F00)’, ‘뇌손상, 뇌기능이상 및 신체질환에 의한 기타 정신장애(F06)’ 등의 발병 빈도가 높다.

자료 보험연구원 제공 [뉴스락]
자료 보험연구원 제공 [뉴스락]

특히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사회적 고립감 악화 △건강상태에 대한 우려 증가 △경제상황 악화 등의 영향으로 개인의 정신건강 악화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 기간 중 타 진료과목의 의료이용량은 감소한 반면 정신질환 진료인원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규모로 발생했던 2월에 증가폭이 확대됐다.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재택근무, 모임 취소 등이 보편화되면서 과거보다 외부인과의 교류가 줄어들어 고립감과 외로움을 유발할 수 있다.

건강취약계층의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이 커질 수 있으며, 고용취약계층의 경우 급격한 경기 침체와 실업률이 급등할 경우 소비활동에 제약이 따르면서 불안감이 증폭될 수 있다.

한편, 신체활동 제한, 디지털기기, 알코올 등의 중독이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김동겸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정신질환의 사회적 비용과 복합질환 위험 등을 감안할 때 생애주기별 다빈도 정신질환 발병을 고려해 사전 예방,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특히 민간 부분의 건강관리서비스 활용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신건강 관리의 중요성이나 코로나19로 대면접촉 어려움을 감안해 디지털기기 사용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수준에서 온라인이나 앱을 통한 보다 적극적인 정신건강 관리가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