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사옥. 사진 쿠팡 제공 [뉴스락]
쿠팡 사옥. 사진 쿠팡 제공 [뉴스락]

[뉴스락] 소프트뱅크가 보유 중인 쿠팡 주식 5700만주를 매각한 것을 두고 시각이 분분하다. 

17일 로이터 등 외신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자료를 인용, 지난 14일 소프트뱅크 비전펀드는 보유 중인 쿠팡 주식 5700만주(주당 29.685달러)를 매각했다고 보도했다.  

총 매각 규모는 16억9천만 달러이며, 기존 보유주식의 약 10%에 해당한다.

이번 매각을 두고 업계 및 금융권 일각에서는 소프트뱅크가 중국 기업투자에 대한 손실 만회를 위한 자금회수에 들어간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다. 

앞서 소프트뱅크는 중국 승차공유 업체인 디디추싱 투자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우버 지분을 매각해 현금화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디디추싱의 지분 20.1%를 보유한 최대주주 소프트뱅크 비전펀드는 이 회사 투자로 약 40억달러의 손실을 입었다.  

또 다른 시각도 있다. 비상장 스타트업 투자를 위한 재원 조달 차원의 매각일 뿐이란 것이다. 

실제 소프트뱅크는 올 2분기 기준으로 스타업에 투자한 금액만 150억달러에 이른다. 때문에 이번 쿠팡 주식 매각 또한 그 연장선상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시각이다. 

소프트뱅크는 2분기 동안 페이스북을 비롯해 MS, 넷플릭스, 우버 등을 차례로 매각해 140억달러(약 16조 4천억원)을 현금화했다. 스타업에 투자한 금액과 엇비슷하다. 

중국과 한국 정부의 규제 강화에 따른 탈행보로 풀이하는 시각도 있다.

중국 정부는 빅테크 등 IT정보기술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외국 투자 기업으로서는 중국 시장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 

한국 정부 역시 중국과 마찬가지로 K산업 부흥 정책이 무색하게 국내 IT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있다. 특히 네이버를 비롯한 카카오, 쿠팡 등 K산업을 이끄는 리더격 IT 기업에 대한 규제와 제재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외국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에 등을 돌리는 현상이 잦아지고 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의 쿠팡 지분 매각이 단순히 탈한국 행보를 떠나 다른 외국 투자 기업까지 연쇄 탈러시로 이어지지 않을까하는 우려를 나타낸다.  

김수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정치권과 금융당국의 플랫폼 산업에 대한 규제 발표가 네이버와 카카오 주가 하락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 계획이 외국인들에게 강력한 매도 신호가 됐고 이에 따라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뉴스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