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은 금융경제팀 기자.
이성은 금융경제팀 기자.

[뉴스락] 은행권의 연이은 횡령으로 고객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우리은행 697억원, 새마을금고 40억원 등 올해 상반기에만 적발된 은행 횡령 피해 추정 금액이 1000억원을 넘어섰다.

하반기가 시작된 직후, 지난 7월 안성 지역농협과 부산은행도 ‘횡령 불명예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경기 안성 고삼농협 직원의 경우 물품 대금의 세금계산서를 허위로 작성해 약 5억원을 횡령했고, 부산은행 직원의 경우 고객의 외환 자금을 지인의 계좌에 입금해 약 19억원을 횡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7월 횡령 사건이 일어난 은행의 두 지점과 통화를 했다. 두 곳 모두 너 나 할 것 없이 사건에 대해 모른다며 오리발을 내밀었다. "지점에서는 언론 대응을 하지 않으니 본사와 통화를 해라", "직원들도 사건에 대해 아는 바가 없다"라고 말이다.

모를 리 없다.

본사도 알고 언론도 알고 국민도 아는데 사건이 발생한 지점의 직원이 모른다면 그것이야말로 더 큰 문제가 아닌가.

설령 사건이 발생할 당시 몰랐다면 사건이 발생한 후에는 알아야 한다. 사건에 대해 모른다면 해당 지점을 믿고 자산을 맡긴 고객들에게는 어떻게 사과할까.

은행 관계자들은 횡령에 대한 해명을 하며 "직원 개인의 일탈"과 "내부  규제 강화"를 종종 언급한다.

작정하고 달려드는 '직원 개인의 일탈'을 막을 방법이 없다는 말이며 그럼에도 '내부규제 강화'를 하겠다는 말이다. 덧붙여 "믿고 맡겨주신 고객들에게 사과드린다"라고도 말한다.

대사를 외운 듯 줄줄 읊는 은행 본사의 답변과 사건 발생 지점의 응대 회피는 은행과 고객 모두에게 좋지 않은 선택이다. 대고객 사과에 고객에 대한 진심이 빠져있기 때문이다.

위의 두 은행 지점이 행했듯 '나 몰라라'식의 대응이 계속된다면 고객의 불안감을 높여 은행의 신뢰 상실로 인한 실적 부진으로 이어질 것이다.

횡령이 '개인의 일탈'이라지만 고객은 직원 개인이 아니라 은행 자체를 믿고 투자한다.

은행은 본사와 지점 모두 그 신뢰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이미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모양새'이지만 '고객 신뢰'라는 더 큰 소를 잃기 전에 은행권은 제대로 된 사과를 하고 실효성 있는 내부 방안을 고안해야한다. 

저작권자 © 뉴스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