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뉴스락]
산업통상자원부. [뉴스락]

[뉴스락]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한국중견기업연합회(이하 중견련)와 함께 실시한 ‘2021년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실태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올해 처음 실시됐으며, 중견기업 416개사를 대상(2020년말 기준 국내 중견기업 수는 총 5526개)으로 디지털 전환 인식 및 현황, 디지털 전환 역량 진단,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기술 수요 등에 대해 조사했다.

먼저, 조사대상 기업의 93.1%가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로 추진 중인 기업은 19.5%에 불과하고, 향후 추진을 계획 중인 기업은 35.6%로 조사됐다.

기업 스스로 평가하는 디지털 전환 대응수준을 5단계(0~4단계)로 구분했을 때 가장 기초적인 1단계(49.8%)와 미추진 단계인 0단계(32.5%)가 대부분이며, 가장 높은 수준인 4단계는 1.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추진분야는 △조직 혁신(69.6%)이 가장 많고, △공정 혁신(66.7%), △제품 혁신(65.2%) 순이며,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기대하는 효과는 △업무 효율화(73.8%)가 가장 많고, △직원 생산성 및 협업 개선(42.8%), △신규 제품 및 서비스 개발(27.1%)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추진 과정에서의 애로사항은 △투자비용 문제(46.7%)가 가장 크고, △성과에 대한 불확실성(38.4%), △전문인력 부족(32.3%), △관련 인프라 부족(23.1%) 순으로 나타났다.

또, 디지털 전환 전담 조직이나 인력을 보유한 기업은 23.8%에 불과하고, 추진인력은 기업 평균 9.8명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예산규모는 기업 평균 12억3900만원, 매출액 대비 0.8% 수준이며, 10억원 이상의 예산을 책정하는 기업은 4.8%에 그쳤다.

최근 1년간 조직원이 디지털 전환 교육을 경험한 기업은 22.6%이고, 디지털 전환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은 △기술개발 역량(54.3%), △프로세스 혁신 역량(50.0%), △생산화 역량(40.4%) 순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중견기업이 디지털 전환 준비를 위해 대응이 필요한 분야는 △새로운 기술정보와 비즈니스 동향 파악을 위한 네트워크 활동(40.1%), △기업 자체적인 혁신활동 강화(36.8%), △동종 및 이업종 간 협력 확대(11.8%) 등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은 7.5%이고, 수혜분야는 △금융 지원(71.0%)이 가장 많고, △기술 지원(38.7%), △인력양성 지원(25.8%) 순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은 디지털 전환 관련 △정보 제공(41.1%), △예산지원 확대(40.6%), △시장 활성화를 위한 환경 조성(30.8%), △전문인력 양성(27.6%) 순으로 조사됐다.

안세진 산업부 중견기업정책관은 “산업부는 올해 중견기업 전용 디지털 전환 지원사업을 신설하여, 중견련 내 ‘중견기업 디지털 혁신센터’ 개소(4월), DX 브리지 포럼, 중견-스타트업 DX 상생 세미나, 찾아가는 DX 카라반, DX CEO 아카데미 등 다양한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을 본격 추진했다”며, “내년에는 올해 사업에 AI·SW 대학·대학원 및 DX 공급기업 등이 참여하는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사업을 신규로 추진해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을 더욱 심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반원익 중견련 부회장은 “올해는 산업부와 함께 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책적 초석을 놓은 뜻깊은 한 해였다”고 평가하며, “이번 조사결과와 현장 수요를 바탕으로 내년에도 산업부 등 유관기관과 중견기업 DX 연대·협력을 지속·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