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락] 고구려 멸망 이후의 혼란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장편 역사소설 '발해, 새벽의 제국'이 출간됐다.
작품은 발해 건국 과정을 사료와 역사, 문학적 상상력으로 재구성하며 잊혀 온 동북아 고대사의 공백을 복원한다.
소설은 고구려 유민들이 격동의 국제 정세 속에서 제2의 제국을 일으키는 과정을 따라간다.
주인공 대조영과 걸사비우, 대걸걸중상 등 실존 인물들의 여정을 중심으로 전쟁·망명·분열·재건의 드라마가 펼쳐진다.
특히 안시성 전투 이후 무너진 고구려 세력이 하나의 국가로 다시 일어서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묘사하며, ‘폐허에서의 창건’이라는 주제를 부각한다.
작품의 전개는 긴박하다. 천문령 전투, 유민 규합, 건국 협상 등의 장면이 간결한 문장으로 이어지고, 전쟁의 감정과 지도자의 결단이 교차하며 서사적 긴장감을 높인다.
저자 안지상은 고고학 자료와 남아 있는 사료를 토대로 발해사의 공백을 문학적으로 메웠다.
사료의 한계를 신중한 상상력으로 보완하며, 건국기의 감정선과 역사적 의미를 동시에 살렸다. 소설에는 당·발해·신라·돌궐 등 동아시아 정세를 시각화한 지도와 연표도 함께 수록돼 독해를 돕는다.
도서출판 미다스북스 관계자는 “'발해, 새벽의 제국'은 주변부에 머물렀던 발해의 역사를 중심 무대로 끌어올린 작품”이라며 “역사소설이면서도 오늘의 시대에 질문을 던지는 서사”라고 밝혔다.
황동진 기자
koreain_79@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