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락] 불안정한 세계 경제의 흐름을 진단하고 향후 2년간의 시나리오를 제시한 경제 전망서 '2026 세계 경제 시나리오'가 출간됐다.
책은 아시아미래인재연구소 최윤식 소장이 집필했다.
최 소장은 세계 각지에서 포착되는 경기침체 신호와 AI 투자 과열, 유럽·중국의 부채 압력 등을 종합 분석하며 “2026년은 자산 재편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진단한다.
그는 AI 중심 투자 열풍이 이미 기술적 한계와 현금 고갈로 인한 균열을 보이고 있으며, 엔비디아 등 GPU 시장의 과열 양상은 2000년 닷컴 버블을 연상시키는 위험 국면이라고 분석한다.
책은 ‘위태로운 균형’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급격한 붕괴와 완만한 조정, 두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특히 한국 경제의 취약성을 날카롭게 짚으며, AI 버블 붕괴가 반도체 산업에 미칠 충격, 중국 경기 침체의 파급효과, 구조적 안일함이 초래할 ‘한국형 민스키 모멘트’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동시에 기술·제조 중심 산업 재편과 정책적 대응을 통해 위기를 도약의 기회로 바꿀 수 있다는 대안을 제시한다.
총 4부로 구성된 책은 ▲AI 버블의 형성과 균열 ▲글로벌 부채와 금융시스템 리스크 ▲민스키 사이클을 통한 경기침체 해석 ▲한국 경제의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으로 구성됐다.
각 장에서는 MIT, 피치북, 가트너 등 주요 기관의 데이터와 분석을 인용해 세계 경제의 변동 요인을 입체적으로 다룬다.
넥서스BIZ 관계자는 “2026년은 기존의 투자 공식을 재검토해야 하는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복합 위기의 소용돌이 속에서 과거의 성공 방정식은 통하지 않는다. 새로운 투자 포지션을 설정할 시기”라고 출간 의의를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