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포스코 회장. 포스코홀딩스 제공 [뉴스락]
장인화 포스코 회장. 포스코홀딩스 제공 [뉴스락]

[뉴스락]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올해 세 번째, 그룹 전체 일곱 번째 중대 인명사고가 또 발생했다.

지난 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또다시 유해가스 중독 사고가 발생했다.

슬러지 청소 작업 중 노후 배관에서 일산화탄소로 추정되는 유해가스가 새어나오며 협력업체 근로자 2명과 포스코 직원 1명이 심정지 상태에 빠졌고, 구조에 나선 3명도 부상을 입었다. 불과 보름 전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한 명이 숨진 데 이어 다시 벌어진 참사였다.

경찰과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 합동조사팀은 유독가스의 종류, 배관 노후 상태, 환기 조치, 안전장비 착용, 작업허가 체계 등 기본 안전수칙 이행 여부를 전면 조사 중이다.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도 검토 대상이다.

사고 직후 포스코는 포항제철소장을 해임했다. 30년 현장 경험을 지닌 ‘생산통’ 임원이었지만, 이번에도 책임은 현장 지휘선에서 끝났다. 후임 소장은 두지 않고 이희근 사장이 직접 제철소장을 겸임하기로 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사고가 날 때마다 소장만 자르는 식의 책임 떠넘기기”라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야경. 지난 8월 27일 찾은 포항제철소 굴뚝에서 연기를 내뿜고 있다. 밤 10시가 넘는 늦은 시간에도 굉음과 함께 매캐한 탄 냄새가 진동했다. 사진 탐사기획팀 [뉴스락] 
포스코 포항제철소 야경. 지난 8월 27일 찾은 포항제철소 굴뚝에서 연기를 내뿜고 있다. 밤 10시가 넘는 늦은 시간에도 굉음과 함께 매캐한 탄 냄새가 진동했다. 사진 탐사기획팀 [뉴스락] 

올해 포항제철소에서는 세 건의 중대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3월에는 냉연공장에서 협력업체 직원이 설비에 끼여 숨졌고, 11월 초에는 화학물질 누출로 하청노동자 1명이 사망했다.

그룹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올 한 해만 7건의 산업재해가 이어졌다.

1월 김해 아파트 추락사, 4월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7월 의령 토목현장 끼임 사고 등, 모든 사고가 노동자의 생명을 앗아간 비극이었다.

포스코이앤씨는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안전조치 미비와 보고 은폐 정황이 확인되면서 정희민 전 대표가 물러나고, 장인화 회장 직속 TF 출신 송치영 부사장이 ‘안전통 CEO’로 긴급 투입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당시 “안전이 담보되지 않는 기업은 공공입찰 배제·면허취소도 검토하라”고 지시했고, 포스코그룹 전반으로 인사 압박이 확산됐다.

그러나 정작 장 회장을 비롯한 그룹 윗선은 단 한 번도 인책되지 않았다.

장 회장은 취임 이후 ‘K-세이프티’와 ESG 경영을 내세웠다.

장 회장은 “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해 안전한 일터를 만들겠다”고 선언했지만, 그로부터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연쇄 사망사고가 이어졌다. 노동계는 “포스코의 ESG는 생명보다 이미지를 위한 포장용 구호”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포스코의 구조적 문제로 ‘위험의 외주화’와 ‘실효성 없는 TF식 안전관리’를 지적한다. 사고가 터질 때마다 하청업체와 현장 소장만 교체되는 ‘현장 희생 구조’가 고착됐다는 것이다.

정부 교체 이후 장 회장은 대통령 순방 경제사절단 명단에서도 제외되는 등 리더십 위기설이 번지고 있다.

노동계 관계자는 “2년간 10건 넘는 사망사고에도 최고경영진은 단 한 번도 책임지지 않았다”며 “이 구조를 끊지 못하면 포스코의 ‘안전 리더십’은 이미 무너진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뉴스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