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2025 500대 기업 임원, 직원수 변화 추이. 리더스인덱스 제공 [뉴스락]
2020-2025 500대 기업 임원, 직원수 변화 추이. 리더스인덱스 제공 [뉴스락]

[뉴스락] 국내 주요 대기업의 지난 5년간 임원 증가율이 직원 증가율의 4배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비교 가능한 331개 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2020년 1분기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5년간 직원 수는 2.8% 증가에 그친 반면 임원 수는 9.3% 늘어났다.

해당 기간 직원 수는 121만 9586명에서 125만 3474명으로 3만 3888명 늘었으나, 임원 수는 1만 2688명에서 1만 3873명으로 1185명 증가했다.

직원 100명당 임원 비율 역시 1.04%에서 1.11%로 0.07%포인트 상승해 조직 내 상위 직급 비중이 확대된 흐름을 보였다.

가장 큰 격차를 보인 곳은 대규모 감원을 단행한 은행·보험 등 금융권이다.

조사 기간 내 전체 23개 업종 중 직원이 줄고 임원이 늘어난 '불균형' 업종은 3곳으로, 그중 금융권의 괴리가 가장 컸다. 12개 은행의 직원 수는 9만 2889명에서 8만 3907명으로 9.7%(8982명) 감소했으나, 같은 기간 임원 수는 293명에서 327명으로 11.6%(34명) 증가했다.

특히 한국씨티은행은 직원이 56.3% 급감하는 동안 임원은 17.6% 늘려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하나은행(직원 -8.0%, 임원 +42.3%)과 국민은행(직원 -12.5%, 임원 +28.6%)도 직원 감소 속에서 임원 조직을 키웠다.

반면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직원과 임원 수를 모두 줄이며 조직 슬림화를 택했다.

보험 업계 역시 직원 감축과 임원 증원이 동시에 일어났다.

보험업종 전체 직원 수는 4만 4847명에서 4만 2103명으로 6.1% 줄었지만, 임원 수는 671명에서 734명으로 9.4% 늘었다. 교보생명은 직원을 7.7% 줄이는 동안 임원을 53.7%나 늘려 업계 내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롯데손해보험 역시 직원 1.8% 감소, 임원 52.4% 증가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한화생명과 미래에셋생명 등 일부 생보사는 직원과 임원 모두 감소세를 기록해 기업별 구조조정 방향의 차이를 드러냈다.

통신·유통·석유화학 업종은 직원과 임원 모두 감소했으나 직원 감원 폭이 훨씬 컸다.

통신 3사의 직원 수는 5년 새 22.3%(8800명) 줄어든 반면 임원 감소는 4명에 그쳤다. KT는 직원을 37.5%(8722명) 줄이는 고강도 구조조정 속에서도 임원은 5명(-4.7%)만 줄였다.

SK텔레콤은 유일하게 직원(+2.1%)을 늘리고 임원(-7.3%)을 줄였다. 유통 업종 16개 기업도 직원 10.1%가 감소할 때 임원은 2.9%만 줄었으며, 불황을 겪는 석유화학 업종 또한 직원 13.8% 감소 대비 임원 감소율은 7.0%에 머물렀다.

여성 임직원 증가세는 남성을 앞섰으나 전체 비중은 여전히 낮았다.

여성 직원은 5년 새 5.8%(1만 8332명) 증가해 남성 직원 증가율 1.7%(1만 5556명)를 크게 웃돌았다.

여성 임원은 2020년 585명에서 올해 1114명으로 90.4%(529명) 급증했다.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의 이사회 성별 다양성을 의무화한 자본시장법 개정 이후 여성 사외이사 영입이 늘어난 영향이다.

다만 여성 직원 100명당 여성 임원 비율은 0.3%에 불과해, 남성(1.4%) 대비 내부 승진을 통한 임원 진입 장벽은 여전히 높았다.

저작권자 © 뉴스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