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락] 공감은 더 이상 위로의 언어가 아니다.
하버드대 출신 심리학자 제나라 네렌버그는 신간 '거짓 공감'(지식의숲)을 통해 “공감의 과잉이 사고의 주체성을 약화시키고 감정의 진실성을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SNS의 ‘좋아요’ 문화와 직장 내 ‘좋은 사람’ 강박, 관계 속 침묵의 예의까지, 저자는 이를 ‘정서적 자기소외’라 명명하며 현대인의 피로한 감정 구조를 해부한다.
책은 공감이 개인의 감정 이해에서 출발해야 함을 강조한다.
네렌버그는 “진정한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분명히 인식하는 행위”라며, 공감을 ‘타인에게 맞추는 기술’이 아닌 ‘자신의 감정을 정직하게 표현할 용기’로 정의한다.
또한 불편한 대화를 회피하지 않고 다름을 인정할 때 비로소 이해가 깊어진다고 말한다.
저자는 하버드대에서 사회학과 신경과학을 전공한 심리학자이자 저널리스트로, 신경다양성과 감정 인지 연구 단체 ‘인터인텔리전스 그룹(The Interintelligence Group)’을 이끌고 있다.
전작 '유별난 게 아니라 예민하고 섬세한 겁니다'로 예민함의 긍정적 의미를 조명했던 그는 이번 신작에서 ‘공감의 피로’ 시대를 사는 개인과 사회의 감정 생태를 탐구한다.
출판사 지식의숲 관계자는 “오늘날 공감은 너무 쉽게 소비되는 말이 됐다”며 “거짓 공감은 타인에게 맞추는 법이 아니라, 자신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법을 되찾게 하는 책”이라고 했다.
황동진 기자
koreain_79@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