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미리캔버스 제공. [뉴스락]
이미지=미리캔버스 제공. [뉴스락]

# 뉴스 속 이슈

최근 몇 년간 'ESG 경영'이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RE100'과 'CF100'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이는 정부의 강제성을 띠는 대신 기업의 자발적 참여로 이뤄지면서 환경에 대한 기업의 관심을 보여줄 수 있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EU는 이달 1일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실시하고 있는데, EU에 수출하는 철강과 시멘트, 전기, 비료, 알루미늄, 수소 등 6개 품목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분기별로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2026년도부터는 전년도에 수출한 상품의 탄소배출량에 상응하는 배출권, 즉 'CBAM 인증서'를 구매해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곧 RE100에 동참해 탄소배출량을 줄이지 않으면 수출 시 별도의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RE100의 의미와 더불어 최근 우리나라가 강조하고 있는 CF100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이미지=미리캔버스 제공. [뉴스락]
이미지=미리캔버스 제공. [뉴스락]

[뉴스락] RE100은 재생에너지(Renewable Electricity) 100%를 의미하며,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2050년까지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충당하는 국제 캠페인이다.

이를 위해 국내 각종 기업들도 태양광 산업 설비를 구축하는 등 친환경 전력 생산에 나서고 있다.

최근 오비맥주 광주공장의 공장지붕형 태양광 발전시설이 2023년 국정감사에서 재생에너지 구축·사용 모범사례로 손꼽히기도 했고, 현대모비스는 2040년까지 RE100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반면 CF100은 무탄소에너지, 즉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은 에너지(Carbon Free) 100%를 의미하며 이를 24시간 실시간으로 수급할 수 있도록 하는 캠페인이다.

이들 모두 탄소중립을 위해 진행되는 캠페인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차이점은 각각 중점을 두는 것이 '재생에너지'와 '무탄소에너지'라는 데 있다.

그런 만큼 CF100에 대해서는 국가별로 의견이 분분하다. 원전과 수소에너지 등을 에너지원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탈원전 기조를 세운 국가의 경우 CF100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 탓이다.

한국의 경우는 어떨까. 정부는 '한국형 CF100'을 통해 원전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탄소 에너지에 대응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형적 특성상 재생에너지만을 확대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만큼 원전 이용은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원전 수소는 단가가 저렴한 만큼 생산품의 가격 안정화를 위해서도 그 가치가 높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이에 정부는 지난 9월 20일 제78차 UN 총회 기조연설에서 무탄소에너지의 국제적 확산을 강조하면서 'CF 연합'에 대한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후속 조치로 지난 12일에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상의회관에서 CF연합 창립총회가 개최되기도 하면서 국내외의 기업들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제도적 개선점을 발굴하는 등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그러나 한국형 CF100에 대한 한계점도 동시에 지적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논의와 진행이 활발한 RE100과 달리 CF100은 논의가 미진한 만큼,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불리할 수밖에 없으며 기업에 혼란만 가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만큼 한국형 CF100과 CF연합이 장기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공감과 기업들의 적극적인 친환경 캠페인 참여가 함께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